포토스팟(최종_팀공지용)
/
아이폰 사진 어플 보정 용어 한 눈에 보기
/
Search
나도 금손
Search
노출은 빛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이에요. 노출을 높이게 되면 아이폰 화면 밝기를 올리는 것처럼 빛의 양이 많아져요. 사진의 사소한 부분들이 안 보이게 되어 너무 어두운 사진, 혹은 화창함을 올리고 싶은 사진에 적용하면 좋아요. 흑백 감성을 좋아하는 워너비는 노출을 조금 낮춰 사진의 전반적인 밝음을 줄이는 것도 추천해요.
예시
노출
빛을 받는 부분의 빛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
휘도는 사진의 전반적인 밝기의 차이를 맞춰주는 기능이에요. 사진에서 어둡게 나온 부분의 밝기를 높여 사진이 밝아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요. 또한 밝은 부분도 같이 더 밝아지게 돼요. 어두운 부분은 밝게 밝은 부분은 더 밝게 하여 전반적인 밝기의 평균을 올린다고 생각하면 돼요. 하지만 너무 많이 올리게 되면 밝기를 올린 부분들이 후광 효과처럼 주변 부와 차이가 나게 돼요.
예시
휘도
밝기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능
하이라이트는 단어의 뜻 그대로 사진을 강조하는 기능이에요. 사진의 의 밝은 부분을 더 밝게 강조하는 효과라서 빛을 부각하고 싶은 사진에 적용하는 것이 좋아요. 강조하게 되다 보니 세세한 부분들이 조금 없어지는 경향이 있어요. 오히려 하이라이트는 조금 낮춰서 전반적인 사진의 톤을 맞추는 것이 좋아요. 낮추게 되면 밝은 부분이 약해지게 되어 사진의 전반적인 색감이 돋보이는 효과가 있어요. 사진의 분위기를 조절하는데 큰 역할을 한답니다.
예시
하이라이트
사진의 밝은 부분의 밝기 조절
그림자는 사진의 어두운 부분을 밝게 하는 기능이에요. 말 그대로 사진에 그림자 져서 나오는 부분들의 밝기를 올려 사진이 화사하게 만들어요. 또한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올리게 되면 색감이 더 맑아져서 후에 채도, 색 선명도 조정 시 선명한 색감의 사진을 얻을 수 있어요. 편집 과정의 첫 번째에 하는 걸 추천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올리게 되면 사진의 깨짐 및 노이즈가 생길 수 있으니 적절히 조절해야 해요.
예시
그림자
사진의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
대비는 사진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줄이거나 늘리는 기능이에요. 대비를 올리면 사진의 명암이 두드러져 강렬하고 날카로운 느낌을 줄 수 있고, 대비를 낮추면 사진에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어요. 편집 과정의 초반에 진행하면 채도, 색 선명도 조정 시에 너무 쨍한 색감이 아닌 부드러운 색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시
대비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차이를 조절하는 기능
밝기는 단어 뜻 대로 사진의 밝기를 올리는 기능이에요. 노출이 밝은 부분의 빛을 더 강조하는 작업이라면 밝기는 사진의 전반적인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이에요. 사진의 전반적인 밝기를 올려 맑고 깨끗한 느낌을 줄 수도 있고, 밝기를 낮춰서 어둡고 진한 톤의 색감을 표현할 수 있어요. 보통 그림자와 대비를 조정하여 빛의 평균을 맞추고 전반적으로 올려주는 것을 추천해요. 밝기를 올리고도 부족한 느낌이라면 휘도를 조정하면 됩니다.
예시
밝기
전반적인 사진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
블랙 포인트는 사진의 검정색을 강조하는 기능이에요. 검정색은 색의 밝기를 조절하는 색이기 때문에 블랙 포인트를 올리게 되면 다른 색들도 어두워져요. 반면, 블랙 포인트를 낮추게 되면 파스텔 색처럼 채도가 낮은 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다면 블랙 포인트를 낮추는 것을 추천해요.
예시
블랙포인트
검정색을 강조하는 기능
채도는 색의 밝기를 올려주는 기능이에요. 원래 팥죽색 빨강이었다면 토마토색 빨강으로 올려주거나, 원래 회색빛 하늘이었다면 맑은 날의 하늘 처럼 색의 밝기를 올려주는 기능이에요. 뒤에 나올 색 선명도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은 채도는 더 쨍한 색감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라는 점이에요. 채도를 높여 맑은 날 찍은 사진처럼 조정할 수도, 채도를 낮춰 흑백 사진으로 만들 수도 있어요. 채도는 편집의 후반부에 하는 걸 추천해요. 채도 조정에 따라서 사진의 분위기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예시
채도
색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
색 선명도는 색의 강도를 높여주는 기능이에요. 우리 눈에는 미쳐 보이지 않았던 색감도 잡아서 그 색의 힘을 올려줍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원래 흰색 같던 건물의 색이 색 선명도를 올리니 약간의 노란 색을 띄게 됐죠? 아이폰 카메라는 기본 보정으로 사진의 색 선명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요. 하지만 자동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그 정도를 조절할 수 없이 자동으로 적용이 되어 내 스타일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본 편집 기능을 활용하여 직접 사진이 변하는 정도를 보면서 적용하는 게 좋겠죠? 이 작업도 채도와 마찬가지로 편집의 후반부에 사용하는 걸 추천합니다.
예시
색 선명도
색의 명도(밝기)를 조절하는 기능
따뜻함은 사진의 톤 온도를 조절해주는 기능이에요. 흔히 우리는 빨강은 따뜻한 색, 파랑은 차가운 색이라고 많이 생각하고 있죠? 사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따뜻함을 올리게 되면 붉은 빛이 강조되고 전반적인 색감이 붉게 변합니다. 반대로 따뜻함을 낮추게 되면 전반적으로 푸른 빛을 띄고 하늘과 같은 푸른 계열의 부분들이 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음식 사진은 주로 따뜻함을 적용하는 것이 맛있어 보이게 나오고, 필름 카메라의 효과를 내고 싶다면 차가운 색상으로 보정하는 것이 좋아요. 햇빛이 너무 강한 사진에는 오히려 색감이 날라가기 때문에 따뜻함을 올려주어 햇빛의 따뜻한 색감을 넣어주는 것이 사진이 자연스러워 지는 방법 중 한 가지에요.
예시
따뜻함
따뜻하거나(노란빛), 차가운(푸른빛)느낌을 주는 기능
색조도 사진의 전반적인 톤을 바꿔주는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위에 따스함에서는 붉은 빛과 푸른 빛이었다면 색조에서는 보라 빛과 초록 빛입니다. 색조를 올리면 보라색 필터가 씌워진 것처럼 전반적으로 보라 빛으로 변해요. 인물 사진에서 볼에 블러셔를 강조하거나 청초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내고 싶다면 색조를 올리면 돼요. 보라색의 보색은 노란색이에요. 사진에 노란 끼를 줄이고 싶다면 색조를 올리면 됩니다. 색조를 낮추면 초록색 필터가 씌워진 것처럼 초록 빛이 돼요. 초록의 보색은 빨강이기 때문에 빨간 끼를 줄이고 싶다면 색조를 낮추면 됩니다. 자연 사진이나, 너무 붉게 나온 사진들에 적용하면 차분하게 만들 수 있어요. 요즘 유행하는 필름 카메라는 대부분 초록빛의 필터가 적용되기 때문에 아이폰으로 필름 카메라 느낌을 내고 싶다면 색조를 낮추는 것을 추천해요.
예시
색조
보라 혹은 초록 빛을 입혀주는 기능
선명도는 말 그대로 사진의 선명도와 구체성을 올리는 기능이에요. 사진에 물론 나와있지만 구체적이지 못하고 조금 흐리게 담긴 부분들을 더 부각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샘플 사진을 보면 건물의 각 벽돌이나 작은 기둥들의 모양이 구체적으로 나와있지 않았는데 선명도를 보정한 후 구체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선명도를 조정하면 사진이 선명해져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화질이라고 느끼게 해요. 다만 선명도는 너무 많이 올리면 사진이 부담스러워지고 보정한 티가 너무 많이 나게 되기 때문에 사진을 보면서 적당히 선명해 보일 정도로만 올려주세요.
예시
선명도
사진의 세부 사항들을 선명하게 하는 기능
명료도는 사진의 외곽선과 같은 부분들의 선명도를 올려주는 기능이에요. 블랙 포인트와 뭐가 다른가 생각할 수 있어요. 블랙 포인트는 전반적으로 검은색이 들어간 부분들을 강조해주는 기능이라면, 명료도는 건물, 사물의 외곽선을 강조해서 돋보이게 해주는 기능이에요. 명료도를 올리면 이 사진의 주인공이 뭐였는지, 주변과 경계가 흐리게 보였던 사진들을 선명하게 보정할 수 있어요.
예시
명료도
사진의 윤곽과 명암을 또렷하게 하는 기능
사진을 과하게 보정하게 되거나 저 화질의 사진을 찍게 되면 픽셀이 깨져서 노이즈 현상이 생기게 돼요. 흔히 필름 카메라 사진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인데 사진의 가장 작은 구성 요소인 픽셀이 제 기능을 못해서 점처럼 다른 색으로 사진 전반에 존재해요. 열심히 찍은 사진인데 깨지게 되면 속상한데요, 바로 그 노이즈를 감소 시켜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기능이 노이즈 감소 기능입니다. 노이즈 감소 기능은 사진에 약한 블러 처리를 해준다고 생각하면 돼요. 하지만 사진의 선명도를 낮추기 때문에 보통 아이폰으로 찍은 사진에서는 사용할 일이 드문 기능이에요.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예시
노이즈 감소
픽셀이 보이는 부분을 부드럽게 만드는 기능
비네트는 사진의 모서리의 명암을 조절해서 사진 중심을 강조하는 기능이에요. 영화에서 fade out 되며 점점 흐려지는 것처럼 사진의 가장자리를 가려서 가운데를 보게 합니다. 음식 사진을 찍을 때 음식을 강조하고 싶거나, 특정 사물에 집중하게 하고 싶다면 사용하는 기능이에요.
예시
비네트
사진의 중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모서리를 흐리게 하는 기능